728x90
반응형
사람살이
지역사회다움과 사회다움
사람이 살아가는데 사람과 사람 이어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
그 이어진 것은 연대 연인 연결 등이 아닐까 싶습니다.
이런 이어짐은 지역사회에서 사회에서 이어짐에 다움은 무엇일까?
생각합니다.
네트워크, 좋은 정책 이것이 답일 수도 있겠지만
계획B를 고민해야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.
//복지요결 p.63 관계
관계는 사람다움 사회다움의 핵심 요소입니다.
당사자와 관계와 지역사회 이웃 관계는 '당사자의 삶, 지역사회 살림살이'를 세우고 지탱하는 바탕입니다.//
우리가 복지관에서 사람살이 할 수 있도록 이어주고
지역사회의 이웃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도록 밀도 있는 관계를 맺게 돕고
사회다움은 지역사회의 공생성 있게 돕고 돕는 일을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.
|
이것들이 지금 내가 서 있는 곳에서 열심히 노력하고 있습니다. 나의 삶에 자연스럽게 스미어 지역사회로 하여금 서로 돕고 도우며 살아가길 바라고 있습니다. |
사람다움, 지역사회다움, 사회다움은?
일을 하면서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그냥 그 삶의 자체에서 스미어 자연스럽게 사람과 사람의 관계속에서 동화되고 돕고 도우며
살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
우리의 삶이 사람다워지면
지역사회의 당사자들과 잘 어울러져
살아갈 수 있습니다.
728x90
반응형
'굴렁쇠의 사회복지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따뜻한 소식]2017년 독거어르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차량구입 및 겨울나기 후원금 모금행사 (4) | 2017.11.13 |
---|---|
[이달의 책] 기획서 쓰는 가장 좋은 방법 The one page proposal - 패트릭 라일리 (2) | 2017.11.09 |
나는 당사자에게 필요한 사회복지사인가? (0) | 2017.11.01 |
중독을 중독으로 (0) | 2017.10.30 |
긍정의 힘을 믿다. (0) | 2017.10.27 |